권력에 관한 페미니즘적 관점 (Feminist Perspectives on Power)
by Junhewk Kim
Feminist Perspectives on Power: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Feminist Perspectives on Power
- 번역을 완료하지 않았지만 필요하실 수 있을 것 같아 먼저 올립니다. 중간의 2, 3절은 수시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 empowerment에 관한 역어를 추천 부탁드립니다. 일단 하단에서는 “부여”로 번역하였습니다만, 정치학, 사회학의 권력 담론에서 별도로 사용하는 용어가 있으신지요?
Introduction
페미니즘에 관한 보편적 정의에 논쟁이 있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지만, 페미니즘 이론이 여성의 종속을 비판하고, 인종 차별, 동성애자 차별과 같은 종속의 다른 형태 및 계급적 억압과 성 차별의 교차를 분석하며, 종속에 대한 개인적, 집단적 저항의 가능성을 그리는 작업에 헌신하고 있다는 것을 부정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이런 이론적 작업에는 권력의 개념이 핵심이며, 권력은 페미니즘 이론의 핵심 개념이기도 합니다. 신기한 것은, 이것이 페미니즘 작업에서 명시적으로 논의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예외로는 알렌 1998, 1999, 카푸티 2013, 하트삭 1983, 1996, 예트먼 1997, 영 1992가 있습니다). 이것은 권력에 관한 페미니즘적 관점을 평가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며, 이를 위해서는 다른 주제와의 논의 속에서 관점을 재구축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페미니즘이 권력을 개념화하는 세 가지 주요한 방식을 구분할 수는 있습니다. (재)분배의 원천, 지배, 권한 부여가 그것입니다. 사회, 정치 이론가가 권력 개념을 정의하기 위해 벌이는 이론적 논쟁을 간략히 논의한 뒤, 페미니즘적 개념 각각을 살펴볼 것입니다.
1. Defining power
사회, 정치 이론에서, 권력은 특히 논쟁이 심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루크스 1974, 2005, 콘놀리 1983 참조). 비록 이 주장 자체가 논쟁적이지만(하우가르트 2010; 모리스 2002, 199-206, 바텐베르크 1990, 12-17 참조), 권력에 관한 문헌에서 권력이라는 용어가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에 관한 심원하며 폭넓고, 다루기 힘든 불일치가 있다는 것은 확실합니다.
불일치 중 하나는 권력을 다른 사람을 원하는 대로 움직이는 것, 즉 지배할 힘이라고 이해하는 사람과, 행위할 능력, 즉 어떤 것을 할 수 있는 힘이라고 정의하는 사람 사이에서 발생합니다. 전자의 고전적 정식화는 막스 베버의 작업에서 보이며, 그는 권력을 “사회관계 속에 있는 한 행위자가 저항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의지를 시행에 옮길 수 있는 위치에 있을 가능성” (1978, 53)으로 정의합니다. 비슷하게, 로버트 달은 “권력의 직관적 개념”이라고 부르는 것을 제시하는데, 그것은 “A가 B를 장악한다는 것은 그가 B에게 어떤 것을 하게 만드는 것으로, B는 달리 행할 방법이 없는 상태” (1957, 202-03)로 정의됩니다. 달의 정의는 1970년대 중엽까지 이어진 격렬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지만, 달의 제일 유명한 비판자 또한 권력을 지배할 힘으로 정의한 것에는 동의하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바라크와 바라츠 1962, 루크스 1974 참조). 스티븐 루크스가 적은 것처럼, 달의 권력에 관한 일차원적 시각, 바라크와 바라츠의 이차원적 시각, 그 자신의 삼차원적 시각은 모두 “권력에 관한 동일한 기저 개념, 즉 A가 B에게 힘을 행사한다는 것은 A가 B의 이익에 반하는 방식으로 행하도록 B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의 변형일 뿐입니다(1974, 30). 비슷하지만, 매우 다른 이론적 기반에서 미셸 푸코의 매우 영향력이 큰 분석은 권력이 지배하는 힘의 일종이라고 가정합니다. 그는 “권력의 기제나 구조를 말한다는 것은,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힘으로 지배하는 것이라는 것을 가정하는 한에서이다” (1983, 217). 이 권력 정의의 두 가지 두드러진 특징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권력은 지배할 힘의 관계로 이해되며, 그것은 실제적인 수행으로 정의된다는 것입니다.
후자의 권력 정의(행위할 힘)의 고전적 정식화는 토머스 홉스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의 권력은 사람이 “미래의 명백한 이익을 얻기 위한… 현재의 수단”입니다(홉스 1985 (1641), 150). 한나 아렌트 또한 권력을 “단지 행위할 뿐만 아니라 함께 행위할 수 있는 인간의 능력”이라고 정의합니다(1970, 44). 권력을 이렇게 개념화하는 편에 서 있는 한나 피트킨은 권력은 어원학적으로 프랑스 단어 pouvoir와 라틴어 potere에 기원하며, 둘 다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합니다. 그는 “그것은 권력이 누군가가 어떤 것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는 어떤 것, 또는 모든 것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권력은 힘, 잠재력, 능력, 수단이다”라고 쓰고 있습니다(1972, 276). 비슷하게, 피터 모리스(2002)와 루크스(2005)는 권력을 성격적 개념으로 정의합니다. 그것은 루크스가 말한대로 “현실태가 아닌 잠재태이며, 사실 결코 실현되지 않는 잠재성이다” (2005, 69). (이 언명은 루크스 자신의 과거 분석을 상당히 손질한 것으로, 그는 과거 권력을 행위할 힘으로 정의하는 입장에 반대하면서, 그런 정의는 “권력의 갈등적 측면, 그것이 사람들에게 행사된다는 사실”을 모호하게 만들며 따라서 권력을 연구하려 할 때 가장 염려하는 부분을 다루는데 실패한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1974, 31). 루크스가 최근 권력을 성격적 개념으로 받아들인 것이 그의 다른 이론적 입장과 양립한다는 것을 살펴보려면, 하우가르트(2010)가 도움이 됩니다.) 권력을 행위할 힘으로 분석하는 이론가들은 지배할 힘의 논의를 배제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예를 들어, 아렌트는 권력을 권한(authority), 강함(strength), 힘(force), 폭력과 날카롭게 구분하여, 권력을 그 자체로서 목적인 것으로 이해하는 규범적 설명을 제시하였습니다(1970). 유르겐 하버마스가 논했듯, 아렌트의 분석은 권력의 전략적 이해(권력을 타인에게 자신의 의지를 부여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베버적 의미) 전체를 차폐하는 효과를 내게 됩니다(하버마스 1994). (아렌트는 권력을 능력으로 정의했지만, “권력을 함께 행위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나타나며 그들이 흩어지는 순간 사라진다”는 입장을 견지했습니다(1958, 200); 따라서, 그가 권력의 성격적 견해를 온전히 수용한 것인지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권력의 두 측면 모두 중요하다고 보았지만, 지배할 힘에 집중(예로 콘놀리 1993)하거나 행위할 힘에 집중(예로 모리스 2002)한 이론가도 있습니다. 지배할 힘을 능력의 유형 중 하나라고, 즉 권력이란 타인에게 자신의 의지를 부여할 능력이라고 정의한 사람도 있습니다; 이 견해에서 지배할 힘이란 행위할 힘의 파생적 형태입니다(알렌 1999, 루크스 2005). 또, 지배할 힘과 행위할 힘은 “권력”이라는 단어의 근본적으로 다른 의미를 가리키는 것이며, 두 개념을 결합하여 설명하려는 시도는 잘못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습니다(피트킨 1972. 바텐베르크 1990).
권력의 행위-이론적 개념, 즉 권력을 특정 행위자의 행위나 성격적 능력으로 정의하는 방식과 권력의 체계적, 구성적 개념, 즉 권력을 행위의 체계적 구조화 가능성, 또는 더 강하게 행위자와 그가 행위하는 사회 세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정의하는 방식으로 권력에 관한 철학적 문헌을 나눌 수도 있습니다. 이런 식의 권력 개념 구분에서 홉스와 베버는 같은 편에 서 있습니다. 둘 다 권력을 일차적으로 도구주의적, 개인주의적, 행위-이론적 용어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사르 2010, 10). 반면 체계적 개념은 권력을 “사회 체계가 행위자에게 성격적 권력을 차등적으로 부여하며, 따라서 행위 가능성을 구조화하는 방식”이라고 봅니다(하우가르트 2010, 425; 클레그 1989 참조). 체계적 개념은 역사적,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힘이 특정 개인에게 타인을 지배할 힘을 행사할 수 있도록 만들거나, 특정 행위자에게만 어떤 능력과 성격을 심어 주었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그러나 사르는 권력의 체계적 개념은 권력의 행위-이론적 개념의 대안이 아니라, 그 모형의 더 복잡하고 정교한 변형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는 “방법론적 수준에서 기본 시나리오는 개인주의적인 상태로 남아 있다. 권력은 ‘행위로 옮겨옴’ 또는 외적 결정의 형태로 개인으로부터 개인으로 작동한다”라고 말합니다(사르 2010, 14).
반면 권력의 구성적 개념은 개인과 그가 거주하는 사회 세계가 권력 구조로 구성되는 근본적인 초개인적, 관계적 방식에 집중합니다. 구성적 개념의 뿌리는 스피노자로 거슬러 올라가며(2002a, 2002b), 아렌트와 푸코 등 현대 이론가의 작업에도 나타납니다. 푸코의 권력에 관한 적업이 행위-이론적, 구성적 노선 모두를 담고 있다는 것을 지적할 필요가 있습니다. 전자의 노선은 위에서 인용한 “권력의 기제나 구조를 말한다는 것은,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힘으로 지배하는 것이라는 것을 가정하는 한에서이다”라는 주장에서 명확하게 드러납니다(푸코 1983, 217). 후자의 노선은 그가 권력을 “그것이 작동하는 영역에 내재하며 그 자신의 조직을 구성하는 힘 관계의 다수성이다; 끊임없는 분투, 충돌, 변형, 강화, 역전의 과정을 통해… 연쇄 또는 체계를 형성한다”라고 정의하는 데에서 잘 드러납니다(푸코 1979, 92).
권력 개념에 대한 논쟁이 심한 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우리가 권력을 개념화하는 방식은 권력 연구를 위한 정치적, 이론적 관심에서 형성된다는 것이 하나의 설명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루크스 1986, 사이드 1986). 예를 들어, 민주주의 이론가는 권력을 연구할 때 사회 운동 이론가, 비판적 인종 이론가, 후기식민주의 이론가와는 관심 있는 대상이 다를 것입니다. 이런 관점에서, 권력의 특정 개념화가 유용한 지 여부는 그것이 전개된 학문적, 이론적 맥락에 따를 것이며, 유용성은 그것이 “이론가 자신이 정의한 과업”을 얼마나 잘 완수하는지에 따라 평가될 것입니다(하우가르트 2010, 426). 이 견해에 따르면, 성별에 기초한 지배와 종속 관계를 이해하고 비판하는 것에 관심이 있는 페미니스트가 권력을 주제로 하여 억압의 축이 어떻게 교차하는지, 개인적, 집단적 저항을 통해 이런 관계들이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 살피려고 한다면, 우리는 페미니스트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얼마만큼 도움이 될 것인가를 통해 권력의 특정 개념을 평가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될 것입니다.
루크스는 권력 개념의 논쟁적 속성에 관한 더 급진적인 설명을 제안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우리의 권력 개념 자체가 권력관계로 형성됩니다. 그는 “우리가 권력을 어떻게 생각하는가가 권력 구조와 관계를 재생산하고 보강하거나, 그것을 변화하고 전복시킬 수도 있다. 그것은 그 지속적 기능에 기여하거나, 그 작동은 보이지 않도록 숨겨져 있는 것이 그 효과를 증가시키므로, 작동의 원칙을 폭로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개념적, 방법론적 질문은 어쩔 수 없이 정치적이며, ‘권력’의 의미는 ‘본질상 논쟁적이다’…” (루크스 2005, 63). 권력의 개념 자체가 권력 구조로 형성된다는 생각은 영향력이 큰 권력 개념이 지배할 힘이라는 것 자체가 남성 지배의 산물이라는 여러 페미니스트의 주장 뒤에 위치해 있습니다(추가적인 논의를 위해서는 4절을 참조).
2. Power as Resource: Liberal Feminist Approaches
3. Power as Domination
4. Power as Empowerment
여기까지, 이 항목의 많은 내용은 여러 페미니즘 문헌처럼 권력을 억압이나 부당한 지배의 관계로 이해했습니다. 나는 그런 관계를 지시하기 위해 ‘지배’라는 용어를 사용해 왔습니다. 물론, ‘억압’이나 ‘복종’이라는 용어를 선호하는 이론가도 있고, 이 현상을 그저 ‘권력’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권력 페미니즘 이론의 중요한 조류는 권력을 지배할 힘, 지배, 통제로 개념화하는 것이 은연중 남권주의적이라는 지점에서 출발합니다. 이런 남권주의적 함축을 피하기 위해, 여러 이론적 배경의 페미니스트는 권력을 역량이나 능력으로, 특히 자신과 타자에게 권리를 부여하거나 변형시킬 수 있는 능력으로 재개념화 할 것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페미니스트는 권력을 지배할 힘이 아닌 행위할 힘으로 이해하려 합니다. (바텐베르크(1990)는 이런 권력의 페미니즘적 이해를 변형하는 힘이라고 부르며, 그것이 사실 지배할 힘의 한 유형이라고 주장합니다. 그것이 지배와 구분되기는 하더라도, 행사자의 권리 부여를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권력의 변형적, 권리 부여 기반 개념을 지지하는 페미니스트 대부분은 그것을 능력이나 역량으로 정의하며, 남성적 개념이라고 추정되는 지배할 힘의 대안으로써 제시합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바텐베르크보다는 페미니스트의 개념을 따를 것입니다.)
예를 들어, 진 베이커 밀러는 “여성의 권력 연구는… 권력 개념 전체에 새로운 이해를 가져올 수 있다”라고 주장합니다(밀러 1992, 241). 밀러는 권력을 지배로 정의하는 것에 반대합니다. 대신, 그는 권력을 “변화를 생산하는 능력, 즉 A 지점이나 A 상태에서 B 지점이나 B 상태로 옮기는 것”이라고 정의합니다(밀러 1992, 241). 밀러는 권력을 지배로 이해하는 것은 남권주의적이며, 여성의 관점에서 권력은 다르게 이해된다고 주장합니다. “여성이 권력을 현재의 이해와 사용 방식으로 사용하지 않으려는 것에는 엄청난 타당성이 있다. 여성은 타인의 권력을 축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보강함으로써 자신 또한 권력을 얻기를 원한다” (밀러 1992, 247-248).
비슷하게, 버지니아 헬드는 권력의 남권주의적 개념인 “한 사람의 의지를 타인에게 강제하는 힘, 계층적 통제와… 계약을 통한 제한을 추구하는 힘” 대해 반대합니다(헬드 1993, 136). 헬드는 어머니이자 돌보는 이로서의 여성 특유의 경험이 권력에 관한 새로운 통찰의 기초가 될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그는 “탄생시키고, 양육하고, 북돋는 능력이 새로운, 더 인간적인 개념의 기초를 약속할 것이다. 그것은 현재 만연한 권력 개념을 권리 부여이자 성장으로 바꿀 것이다”라고 적고 있습니다(헬드 1993, 137). 헬드에 따르면 “타인에게 권리를 부여하며, 변형적 성장을 촉진하는 어머니의 권력은 강한 칼이나 지배적 의지와는 다른 종류의 권력이다” (헬드 1993, 209). 헬드는 사회와 정치의 페미니즘적 분석은 변화, 그리고 자신과 타인에게 권리를 부여하는 능력으로 권력을 이해하는 것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봅니다.
이런 권력의 전환과 부여 개념은 레즈비언 페미니즘과 생태 페미니즘의 주요한 주제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사라 루시아 호글랜드는 “국가 주권, 치안, 군대, 경제 자원 통제, 기술 통제, 명령의 위계와 연쇄”에 초점을 둔 남권주의적 권력 개념에 비판적입니다 (호글랜드 1988, 114). 대신, 호글랜드는 권력을 “내부로부터의 힘”으로 정의하며, “할 수 있음, 선택, 참여의 힘”으로 이해합니다. “그것은 창조적이다. 따라서 그것은 영향을 미치며 전환을 가져오지만, 통제하는 힘이 아니다” (호글랜드 1988, 118). 비슷하게, 스타호크는 “안으로부터 나타나는 힘이라고 볼 때, 그것은 우리 안에 내재해 있는 씨앗으로부터 자라나는 힘이다”라고 주장했습니다(스타호크 1987, 8). 호글랜드와 스타호크 모두, 내부로부터의 권력은 적극적이고, 생명을 긍정하며, 권리를 부여하는 힘이라고 생각하며, 그들의 견해는 권력을 지배, 통제, 타인에게 의지를 부과하는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과 완전한 대조를 이루고 있습니다.
권력에 관한 비슷한 이해를 탁월한 프랑스 페미니스트 루스 이뤼가레이와 헬레네 식수의 작업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뤼가레이는 페미니스트가 남근 지배 문화의 권력 정의에 의문을 제기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합니다. 만약 페미니스트가 “권력 분배의 변화만을 겨냥해 권력 구조 자체를 그대로 놓아둔다면, 의도적이든 아니든 그들 자신이 다시 남근지배적 질서의 대상이 될 것이다” (이뤼가레이 1985, 81). 그 질서란 남근으로 표상되는, 남권을 우선시하는 담론적, 문화적 질서입니다. 이뤼가레이에 따르면, 만약 남근지배적 질서를 전복하길 원한다면 우리는 “남권적인 권력 정의”를 거부해야 합니다(이뤼가레이 1985, 81). 성차에 관한 이뤼가레이의 작업이 전환적 권력이라는 대안, 여성적 경제에 기반한 개념을 제시한다고 해석하는 페미니스트도 있습니다(이뤼가레이 1981, 퀴켄달 1983 참조). 비슷하게, 식수는 “여성의 권력”은 타인을 좌우하거나 타인에게 힘을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지배”하는 형태를 띤다고 주장하였습니다(식수 1977, 483-84).
비슷한 방향에서, 낸시 하트삭은 “권력의 페미니즘 이론”은 권력을 “지배보다는 에너지와 경쟁”으로 이해한다고 생각합니다(하트삭 1983, 224). 하트삭은 이 이론의 싹은 자신을 페미니스트라고 생각하지 않은 여성의 작업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 대표는 한나 아렌트로, 그가 권력의 명령-복종 모형을 거부하고, ‘권력’을 “단지 행하는 것이 아닌, 함께 행하는 인간의 능력”이라고 정의한 것은 페미니즘의 권력 부여 개념과 겹친다고 주장합니다(1970, 44). 아렌트의 ‘권력’ 정의는 부여로써의 ‘권력’ 정의의 다른 측면을 드러내는데, 그것은 그의 초점이 공동체 또는 집단 부여(권력과 공동체의 관계에 관해서는 하트삭 1983, 1996 참조)에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부여의 측면은 마리 파커 폴레가 압도하는 힘과 공급하는 힘을 구분할 때 명확히 드러납니다. 폴레의 공급하는 힘이란 집단 구성원의 호혜적 관계로 기능하는 집단적 능력입니다(폴레 1942). 하트삭은 능력 또는 부여로써의 권력이라는 주제가 권력에 관한 여성의 저술 작품에서 눈에 띈다는 점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의 관점에 따르면, 페미니즘적 입장은 “왜 남권적 공동체가… 권력을 지배, 억제, 죽음으로 구축했는지를, 왜 권력에 관한 여성의 설명이 남성의 것과는 구체적이며 체계적인 방식으로 다른지를 알려준다…. 이런 입장은 해방의 방향을 가리키는 권력에 관한 이해를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하트삭 1983, 226).
최근, “권력 페미니즘” 옹호자는 부여 개념에 관해 폭넓게 논의하고 있습니다. 1980년대 페미니즘이 여성의 희생자화와 억압을 과도하게 강조한 것에 대한 반응으로, 권력 페미니즘은 1990년대 카미유 파글리아, 캐시 로이페, 크리스티나 호프 솜머스, 나오미 울프 등의 작품을 통해 부상합니다. 이 운동이 학계보다는 주류 언론과 문화에 더 큰 영향을 미쳤기도 하거니와, 이것은 학계의 페미니즘에 관한 비판으로 읽히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학술적 논쟁을 촉발시켰습니다. 매리 카푸티가 근저 “페미니즘과 권력: 비판 이론의 필요성”(Feminism and Power: The Need for Critical Theory, 2013)에서 주장한 것처럼, 권력 페미니스트는 여성의 희생자화에 관한 과도한 강조뿐만 아니라, 이전의 부여 이론가들이 여성은 “남성이 신봉하는 거친 개인주의 대신 돌봄, 그리고 인간관계의 서로 연결된 그물에 더 민감한 생물”이라는 주장도 거부합니다(카푸티 2013, 4). 반대로, 권력 페미니스트들은 더 개인주의적이며, 자기주장적이며, 더 공격적인 부여 개념을 지지합니다. 여기에서는 선택을 내리는 맥락이나 여성이 선택할 수 있는 선택지에는 거의 신경 쓰지 않고, 개인의 선택의 측면에서 부여를 정의하려 합니다. 카푸티는 권력 페미니즘이 권력의 문제적인 남권주의적 개념에 의존하며 이를 모방적으로 재생산하고 있으며, 그것은 “‘공급하는 힘’ 대신 ‘압도하는 힘’의 과시에 매혹되었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합니다(카푸티 2013, xv). 그녀는 “페미니즘이 남권주의적 권력 의지와 연합한 부여의 무비판적 지지에 관해 질문을 던지고, 강하며, 근사하고, 자기주장적이지만 생각 없는 ‘페미니스트’와 단절해야 한다”라고 적었습니다(카푸티 2013, 17). 카푸티는 개인주의적, 주권적, 남권주의적 지배 개념을 모방하는 권력 페미니즘의 경향성은 “권력 개념의 재고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라고 봅니다(카푸티 2013, 89). 재고를 촉구하며, 카푸티는 초기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비판 이론과 자크 데리다의 작업에서 방편을 찾습니다.
세레네 카더의 “적응적 선호와 여성의 부여”(Adaptive Preferences and Women’s Empowerment)는 페미니즘 이론에서 부여를 재고하는 다른 방식을 제시합니다. 국제 개발의 맥락에서 부여를 살피는 카더는 정교한 적응적 선호의 완벽주의적 설명을 제시합니다. 적응적 선호를 자율성의 결핍으로 정의하는 대신, 칸더는 그런 선호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기본적 생장(flourishing)과 일치하지 않으며… 기본적 생장에 도움이 되지 않는 조건에서 형성된 것이라면… 우리는 선호에 관한 규범적 조사를 통한 변형과 생장에 더 도움이 되는 조건에 노출을 촉구해야 한다고 믿는다”(카더 2011, 42). 그의 완벽주의적 설명은 단순한 적응적 선호, 즉 존재하는 사회 조건에 적응하면서 형성된 선호와 그가 “부적절한 적응적 선호”(inappropriately adaptive preferences, IAPs)라고 부르는 것, 즉 나쁘거나 억압적인 사회적 조건에 적응한 선호로 받아들인 사람에게 해로운 것 사이의 구분을 강조합니다(52-53). 또한 그는 IAPs가 국제적 자기 권리 결핍(global self-entitlement deficits)보다는 더 선택적이며(109), 이는 어떤 재화에 관한 자기 자신의 가치나 권리에서, 전 세계적이라기보다는 특정한 영역이나 맥락, 어떤 개인이나 집단에서 개인의 의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억압받는 측의 행위성의 가능성을 부정하지 않고서도 IAPs의 기제를 통해 억압 작동의 심리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카더는 IAPs에 관한 정교한 완벽주의적 설명을 통해 여성주의 개발 실천과 이론에서 출현한 부여 개념에 대한 쟁점을 진단하고 이를 넘어서길 원합니다. 여성의 부여 개념이 국제 개발 실제에서 중심이 되어 가면서, 페미니스트들은 여기에서 나타난 이데올로기적 효과에 관해 문제를 제기해 왔습니다. 개발 실제에서 부여의 언어가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카더는 개발 문헌에서 암묵적으로 나타나는 부여 개념 대신 더 명료한 개념을 제시하는 것을 통해 문제를 다루려 합니다. 개념의 규범적 핵과 그 인간 생장과의 관계를 강조함을 통해서 말입니다. 그는 부여를 “자기 권리 개념의 요소를 강화하고 자신의 생장을 추구하는 능력을 증가시켜 하나 이상의 IAPs를 극복해가는 과정“으로 정의합니다(카더 2011, 176). 이러한 부여의 정의는 개발 이론과 실천에서 나타나는 부여의 딜레마에 대해 재고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여러 개발 실천가는 부여를 선택의 측면에서 정의하며, 분투란 명백한 자기 종속적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선택이 부여와 동일하다면, 자신의 종속이나 박탈을 선택하는 것도 부여의 실례라는 것을 의미할까요? 카더의 세밀한 분석은 이 딜레마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고상한 방법을 제시합니다. 선택이 내려지는 조건과, 이들 조건에 필요한 생장의 여러 영역이나 측면 사이의 교환을 강조함을 통해서요. 음핵 절제술을 받은 뒤 교육을 받는 것을 선택한 탄자니아의 젊은 여성의 사례를 부여를 목표한 실천이라고 논의하면서, 카더는 적고 있습니다. “음핵 절제술을 선택한 여성은 그들이 명백한 자신의 생장을 추구하는 선택지가 없었기 때문에 권리를 박탈당한 것인가, 아니면 선택을 함으로써 행위자의 능력을 발휘한 것이므로 권리를 부여받은 것인가? IAP에 관한 내 분석은 둘 다 맞다고 말한다” (187). 카더에게 부여는 지저분하고, 복합하며, 점진적인 개념입니다. 그의 부여 분석은 “자기 종속적 선택이 박탈적 조건에서 선택적 부여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189). 하지만 설명의 규범적 핵, 그 정교한 완전주의는 “한 사람이 여러 영역에서 기본적 생장을 추구할 수 없는 상황은 비극이다”라는 점을 강조합니다(189).
5. Concluding thoughts
도입부에서 주장한 것처럼, 그리고 이 항목이 제시한 것처럼, 권력 개념은 페미니즘 철학의 여러 논쟁에서 핵심에 위치해 있습니다. 사실, 페미니즘 이론화 이서 이 개념이 가지는 중심성은 이런 항목의 기술을 어렵게 만듭니다. 권력 개념이 거의 모든 페미니즘 이론에서 이런저런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어디까지 봐야 할지 선을 긋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전반적으로 나는 권력 개념이 중심 주제인 텍스트와 논쟁을 부각하려고 시도했습니다. 그게 함축적인 경우라고 해도요. 페미니즘 철학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작가와 텍스트에 우선권을 부여하려 했고, 더 넓은 페미니즘 이론이나 성 연구로 나아가지는 않았습니다. 이 구분을 내리는 것이 어렵고 항상 몹시 유용한 것은 아니라 할지도 말입니다. 그런 틀의 선택이 불확실하더라도, 관련 문헌의 범위를 결정하고 논의의 초점과 구조를 정하는 데에는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Bibliography
Ahmed, Sara, 2006. Queer Phenomenology: Orientations, Objects, Other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Alcoff, Linda, 1990. “Feminist Politics and Foucault: The Limits to a Collaboration,” in Crises in Continental Philosophy, Arlene Dallery and Charles Scott (eds.), Albany, NY: SUNY Press.
Allen, Amy, 1996. “Foucault on Power: A Theory for Feminists,” in Feminist Interpretations of Michel Foucault, Susan Hekman (ed.), University Park, PA: Penn State Press.
–––, 1998. “Rethinking Power,” Hypatia, 13: 21–40.
–––, 1999. The Power of Feminist Theory: Domination, Resistance, Solidarity, Boulder, CO: Westview Press.
–––, 2008a. The Politics of Our Selves: Power, Autonomy, and Gender in Contemporary Critical Theor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 2008b. “Power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Oppression, Empowerment, and Transnational Justice,” Hypatia, 23(3): 156–172.
–––, 2008c. “Rationalizing Oppression,” Journal of Power, 1(1): 51–65.
Al-Saji, Alia, 2010. “Bodies and Sensings: On the Uses of Husserlian Phenomenology for Feminist Theory” Continental Philosophy Review, 43(1): 13–37.
Arendt, Hannah, 1958. The Human Condi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1970. On Violence, New York: Harcourt Brace & Co..
Bachrach, P. and Baratz, M.S., 1962. “The Two Faces of Power,”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56: 941–52.
Bartky, Sandra, 1990. Femininity and Domination: Studies in the Phenomenology of Oppression. New York: Routledge
–––, 2002. “Sympathy and Solidarity” and Other Essays, Rowman and Littlefield.
Beauvoir, Simone de, 1974. The Second Sex, New York: Vintage Books.
Benhabib, Seyla, 1992. Situating the Self: Gender, Community and Postmodernism in Contemporary Ethics, New York: Routledge.
Benhabib, Seyla, Judith Butler, Drucilla Cornell, and Nancy Fraser, 1995. Feminist Contentions: A Philosophical Exchange, Linda Nicholson (ed.), New York: Routledge.
Bordo, Susan, 1993. Unbearable Weight: Feminism, Western Culture, and the Body,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utler, Judith, 1990. Gender Trouble: Feminism and the Subversion of Identity, New York: Routledge.
–––, 1993. Bodies that Matter: On the Discursive Limits of ‘Sex’, New York: Routledge.
–––, 1997. Excitable Speech: Toward a Politics of the Performative, New York: Routledge.
–––, 1997. The Psychic Life of Power: Theories in Subjection,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Caputi, Mary, 2013. Feminism and Power: The Need for Critical Theory, Lanham, MD: Lexington Books.
Carastathis, Anna, 2013. “Basements and Intersections” Hypatia, 28(4): 698-715.
–––, 2014. “Reinvigorating Intersectionality as a Provisional Concept,” in Goswami, O’Donovan and Yount (eds.), Why Race and Gender Still Matter: An Intersectional Approach, New York: Routledge.
Cixous, Hélène, 1977. “Entrieten avec Françoise van Rossum-Guyon,” Revue des sciences humaines, 168: 479–493.
Clegg, Stewart, 1989. Frameworks of Power, London: Sage.
Collins, Patricia Hill, “Piecing Together a Genealogical Puzzle: Intersectionality and American Pragmatism”. European Journal of Pragmatism and American Philosophy, 3(2): 88-112.
Collins, Patricia Hill, et al., 2002. “Symposium on West and Fenstermaker’s ‘Doing Difference’,” in Sarah Fenstermaker and Candace West (eds.), Doing Gender, Doing Difference, New York: Routledge.
Combahee River Collective, 1981. “A Black Feminist Statement (1977),” in Cherrie Moraga and Glora Anzaldua (eds.), This Bridge Called My Back: Writings by Radical Women of Color, New York: Kitchen Table/Women of Color Press.
Connolly, William, 1993. The Terms of Political Discourse, Third Edition.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Crenshaw, Kimberle, 1991a. “Demarginalizing the Intersection of Race and Sex: A Black Feminist Critique of Antidiscrimination Doctrine, Feminist Theory, and Antiracist Politics,” in Katharine T. Barlett and Rosanne Kennedy (eds.), Feminist Legal Theory: Readings in Law and Gender, Boulder, CO: Westview Press.
–––, 1991b. “Mapping the Margins: Intersectionality, Identity Politics, and Violence Against Women of Color,” Stanford Law Review, 43(6): 1241–1299.
Cudd, Ann, 2006. Analyzing Oppress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Dahl, Robert, 1957. “The Concept of Power,” Behavioral Science, 2: 201–15.
Davis, Angela, 1983. Women, Race and Class, New York: Vintage.
Diamond, Irene and Lee Quinby (eds.), 1988. Feminism and Foucault: Reflections on Resistance,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Dowding, Keith, 2001. “Rational Choice Approaches to Analyzing Power,” in Nash and Scott (eds.), The Blackwell Companion to Political Sociology, Oxford: Blackwell.
–––, 2009. “Rational Choice Approaches,” in Clegg and Haugaard (eds.), The SAGE Handbook of Power, London: Sage.
Eisenstein, Zillah, 1979. “Developing a Theory of Capitalist Patriarchy,” in Eisenstein (ed.), Capitalist Patriarchy and the Case for Socialist Feminism,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Feder, Ellen, 2007. Family Bonds: Genealogies of Race and Gende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Fisher, Linda, and Lester Embree (eds.), 2000. Feminist Phenomenology,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ress.
Firestone, Shulamith, 1970. The Dialectic of Sex: The Case for Feminist Revolution, New York: William Morrow and Company.
Follett, Mary Parker, 1942. “Power,” in Dynamic Administration: The Collected Papers of Mary Parker Follett, Henry C. Metcalf and L. Urwick (eds.), New York: Harper.
Foucault, Michel, 1977. Discipline and Punish: The Birth of the Prison, trans. Alan Sheridan. New York: Vintage.
–––, 1979. The History of Sexuality, Volume 1: An Introduction, trans. Robert Hurley. New York: Vintage.
–––, 1980. “Two Lectures”in Colin Gordon (ed.), Power/Knowledge: Selected Interviews and Other Writings, 1972–1977, New York: Pantheon.
–––, 1983. “Afterword: The Subject and Power” in Hubert Dreyfus and Paul Rabinow, Michel Foucault: Beyond Structuralism and Hermeneutics, 2nd edi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Fraser, Nancy, 1989. Unruly Practices: Power, Discourse and Gender in Contemporary Social Theory, Minneapolis, M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1993. “Beyond the Master/Subject Model: Reflections on Carole Pateman’s Sexual Contract”. Social Text, 37: 173–181.
Frye, Marilyn, 1983. The Politics of Reality: Essays in Feminist Theory, Freedom, California; The Crossing Press.
Garry, Ann, 2011. “Intersectionality, Metaphors, and the Multiplicity of Gender”. Hypatia, 26(4): 826-850.
Gines, Kathryn, 2014. “Race Women, Race Men and Early Expressions of Proto-Intersectionality, 1930s-1930s,” in Goswami, O’Donovan and Yount (eds.), Why Race and Gender Still Matter: An Intersectional Approach, New York: Routledge.
Goswami, Namita, Maeve M. O’Donovan and Lisa Yount, 2014. Why Race and Gender Still Matter: An Intersectional Approach, New York: Routledge.
Habermas, Jürgen, 1994. “Hannah Arendt’s Communications Concept of Power,” in Hinchman and Hinchman (eds.), Hannah Arendt: Critical Essays, Albany, NY: SUNY Press.
Hartmann, Heidi, 1980. “The Unhappy Marriage of Marxism and Feminism: Toward a More Progressive Union,” in Lydia Sargent (ed.), Women and Revolution, Boston: South End Press.
Hartsock, Nancy, 1983. Money, Sex, and Power: Toward a Feminist Historical Materialism,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 1990. “Foucault on Power: A Theory for Women?” Feminism/Postmodernism, Linda Nicholson (ed.). New York: Routledge.
–––, 1996. “Community/Sexuality/Gender: Rethinking Power,” in Revisioning the Political: Feminist Reconstructions of Traditional Concepts in Western Political Theory, Nancy J. Hirschmann and Christine Di Stefano (eds.), Boulder, CO: Westview Press.
Haslanger, Sally, 2012. Resisting Reality: Social Construction and Social Critiqu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Haugaard, Mark, 2010. “Power: A ‘Family Resemblance’ Concept,” European Journal of Cultural Studies, 13(4): 419–438.
Heinamaa, Sara, 2003. Toward a Phenomenology of Sexual Difference: Husserl, Merleau-Ponty, Beauvoir, Lanham, MD: Rowman and Littlefield.
Heinamaa, Sara and Lanei Rodemeyer (eds.), 2010. Feminist Phenomenologies: Special Issue of Continental Philosophy Review, 43(1): 1–140.
Hekman, Susan (ed.), 1996. Feminist Interpretations of Michel Foucault, University Park, PA: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Held, Virginia, 1993. Feminist Morality: Transforming Culture, Society, and Politic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eyes, Cressida, 2007. Self-Transformations: Foucault, Ethics, and Normalized Bodie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Hoagland, Sarah Lucia, 1988. Lesbian Ethics: Toward a New Value, Palo Alto: Institute of Lesbian Studies.
Hobbes, Thomas, 1985 (1641). Leviathan, New York: Penguin Books.
hooks, bell, 1981. Ain’t I a Woman? Black Women and Feminism Boston: South End Press.
Huffer, Lynne, 2013. Are the Lips a Grave? A Queer Feminist on the Ethics of Sex,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rigaray, Luce, 1981. “And the One Doesn’t Stir Without the Other,” trans. Hélène Vivienne Wenzel. Signs, 7(1): 60–67.
–––, 1985. This Sex Which Is Not One,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Khader, Serene, 2011. Adaptive Preferences and Women’s Empowermen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Kruks, Sonia, 2001. Retrieving Experience: Subjectivity and Recognition in Feminist Politics,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Kuykendall, Eléanor H., 1983. “Toward an Ethic of Nurturance: Lluce Irigaray on Mothering and Power,” in Mothering: Essays in Feminist Theory, Joyce Trebilcot (ed.) Savage, MD: Rowman and Littlefield.
Lorde, Audre, 1984. Sister/Outsider: Essays and Speeches by Audre Lorde, Freedom, CA: Crossing Press.
Lukes, Steven, 1974. Power: A Radical View, London: Macmillan.
–––, 1986. “Introduction” in Power, Steven Lukes (ed.), Oxford: Blackwell.
–––, 2005. Power: A Radical View, 2nd expanded edition. London: Macmillan.
MacKinnon, Catharine, 1987. Feminism Unmodified: Discourses on Life and Law,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1989. Toward a Feminist Theory of the Sta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McCall, Leslie, 2005. “The Complexity of Intersectionality,” Signs: Journal of Women in Culture and Society, 30(3): 1771–1800.
McLaren, Margaret, 2002. Feminism, Foucault, and Embodied Subjectivity, Albany, NY: SUNY Press.
McNay, Lois, 1992. Foucault and Feminism: Power, Gender, and the Self,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McWhorter, Ladelle, 1999. Bodies and Pleasures: Foucault and the Politics of Sexual Normalization, Bloomington, IN: Indiana University Press.
–––. 2009. Racism and Sexual Oppression in Anglo-America: A Genealogy, Indianapolis, IN: Indiana University Press.
Mill, John Stuart, 1970. “The Subjection of Women” in Essays on Sex Equality, Alice Rossi (e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Miller, Jean Baker, 1992. “Women and Power” in Thomas Wartenberg (ed.), Rethinking Power, Albany, NY: SUNY Press.
Morriss, Peter, 2002. Power: A Philosophical Analysis, 2nd edition,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Nash, Jennifer, 2008. “Re-thinking Intersectionality.” Feminist Review, 89: 1-15.
Okin, Susan Moller, 1989. Justice, Gender and the Family, New York: Basic Books.
Oksala, Johanna, 2005. Foucault on Freedo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2016. Feminist Experiences: Foucauldian and Phenomenological Investigations, Evanston, IL: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Pateman, Carole, 1988. The Sexual Contract,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Pateman, Carole, and Charles Mills, 2007. Contract and Domination, Cambridge: Polity Press.
Pitkin, Hanna Fenichel, 1972. Wittgenstein and Justice: On the Significance of Ludwig Wittgenstein for Social and Political Thought,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uar, Jasbir, 2007. Terrorist Assemblages: Homonationalism in Queer Times,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 2012. “‘I would rather be a cyborg than a goddess’: Becoming-Intersectional in Assemblage Theory.” PhiloSOPHIA, 2(1): 49-66.
Ramazanoglu, Caroline (ed.), 1993. Up Against Foucault: Explorations of some tensions between Foucault and feminism, New York: Routledge.
Rubin, Gayle, 1976. “The Traffic in Women: Notes on the Political Economy of Sex,” in Rayna Reiter (ed.), Toward an Anthropology of Women,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Saar, Martin, 2010. “Power and Critique,” Journal of Power, 3(1): 7–20.
Said, Edward, 1986. “Foucault and the Imagination of Power,” in Foucault: A Critical Reader, David Couzens Hoy (ed.), Oxford: Blackwell.
Salamon, Gayle, 2010. Assuming a Body: Transgender and the Rhetorics of Materialit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Sawicki, Jana, 1991. Disciplining Foucault: Feminism, Power, and the Body, New York: Routledge.
Sheth, Falguni, 2014. “Interstitiality: Making Space for Migration, Diaspora, and Racial Complexity.” Hypatia, 29(1): 75-93.
Spinoza, Benedict de, 2002a. “Theological-political Treatise,” in M. L. Morgan (ed.), Complete Works, Indianapolis: Hackett, pp. 383-583.
–––, 2002b. “Political Treatise,” in M. L. Morgan (ed), Complete Works, Indianapolis: Hackett, pp. 676–754.
Starhawk, 1987. Truth or Dare: Encounters with Power, Authority, and Mystery, San Francisco: Harper.
Wartenberg, Thomas, 1990. The Forms of Power: From Domination to Transformation, Philadelphia: Temple University Press.
Weber, Max, 1978. Economy and Society: An Outline of Interpretive Sociology, trans. Ephraim Fischoff et al.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Weiss, Gail, 1999. Body Images: Embodiment as Intercorporeality, New York: Routledge.
Yeatmann, Anna, 1997. “Feminism and Power,” in Reconstructing Political Theory: Feminist Perspectives, Mary Lyndon Shanley and Uma Narayan (eds.), University Park, Pennsylvania: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Press.
Young, Iris Marion, 1990a. Justice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 1990b. Throwing Like a Girl And Other Essays in Feminist Philosophy and Social Theory, Bloomington, IN: Indiana University Press.
–––, 1992. “Five Faces of Oppression” in Rethinking Power, Thomas Wartenberg (ed.), Albany, NY: SUNY Press.
Zack, Naomi, 2005. Inclusive Feminism: A Third Wave Theory of Women’s Commonality, Lanham, MD: Rowman and Littlefield.
Subscribe via RSS